구조해석·유동해석
구조해석·유동해석
고객사 | 해석 컨설팅 내용 | 고객사 | 해석 컨설팅 내용 |
서***맥 | 밸브 Open 조건에 따른 압력손실에 의한 출구 유량 차이 확인 | 현**** | 지게차량용 밧데리 함체 열유체 유동해석 및 진동에 의한 안전성 컨설팅 |
엔*******스 | 반도체 검사 장비 내부의 유동 확인 | 한*** | I-Robot 거동에 대한 구조물 안전성 해석 |
태**이 | 복사열전달 해석을 이용한 유리판 열분포 확인 | 엠*** | 반도체 설비 관련 구조 해석 |
유*****지 | 풍량에 따른 토출구 열풍 온도 편차 확인 및 내 유동 정체 구역 확인을 통한 열풍로스 체크 | 와**** | 디스플레이 오븐 열유체 유동 해석 컨설팅 및 LCD Panel에 대한 처짐량 해석 |
벤*** | 렉카 BOX 내부 응력 및 열 냉각 해석 용역 | 남** | LED 램프 개발 열 해석 컨설팅 |
경*** | 공조기 개발 관련 구조 변경에 의한 토출 유량 최적화 유동해석 | 한**** | 발전기 3D 모델링 용역 및 3Dvia Composer를 이용한 분해/조립 동영상 제작 |
알*** | 로봇레일 응력 해석 | 디**** | LED 형광 램프 3D 개발, 3D 모델링 및 열 해석 컨설팅 |
유***** | Air compresser 베어링 튜브 하우징 구조해석 | 유***** | 차륜 디스크 구조해석 |
한*** | 발전기 3D모델링 및 정비 매뉴얼 용역 | 삼지** | 트랙수조 슬러지 유동해석 |
대** | 풍력 발전기 기어박스 내부 열유동 해석, 기어 동적 해석 및 피로 구조해석 | 감*** | 외부안테나 풍량에 의한 유동해석 및 지지 프레임에 대한 구조해석 |
알*** | 자동차 판넬 조립 지그 하중에 의한 구조 안전성 해석 | 대*** | Water 역류 제동 장치 관련 유동해석 |
유*** | 열차 제동 캘리퍼 슈 편마모 저감을 위한 동력학 해석 | 엠** | 통신 안테나 회전관련 동력학 해석 |
극*** | 인공위성 장착 통신장비 열해석 | 유*** | 열차바퀴 회전에 의한 제동 패드 조립 응력해석 |
극*** | 외부 진동에 의한 장비의 안정성 진동해석 | 루*** | 임플란트 모델링 |
TR** | 궤도장치 핀 내구성 평가 해석 | 엔*** | 반도체 검사장비 내부 열 유동 해석 |
T** | Micro-mobility 60kw 급속충전기 내부 열 유동 해석 | 제**** | 단로기 동적 구조해석 |
구조해석·유동해석
구 분 | 내용 | |
---|---|---|
구조해석 (FEA) | 정적 해석 | 응력 및 처짐 분석, 피로 수명 및 피로 파괴 분석 |
열해석(전도/대류/복사), 열응력 해석 | 열 전달 및 열응력에 의한 변형 분석 | |
동적 해석(고유진동/선형동적) | 진동 형태에 따른 변위 및 응렵 집중부 분석 | |
낙하/충격 해석 | 낙하 또는 충격에 의한 제품의 2차 및 2차 충격 부위 분석 | |
최적화 해석 (위상/치수) | 위상 최적화 및 치수 최적화를 이용한 형상 최적화 진행 | |
유동해석 (CFD) | 내부/외부 유동해석 | 각종 장비 내·외부의 유동에 의한 흐름 분석 |
열전달(전도/대류/복사) 해석 | 열유체 해석을 통한 열 전달 해석 | |
압축성/비뉴턴 액체 | 혈액 유류에 대한 유동 분석 | |
Electronic Cooling/HVAC 해석 | 전자 장비의 고급 열해석 및 공조 장비의 분석 |
구조해석·유동해석
구조물이 최초로 하중을 받으면 충격에 의해 변동하다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안정화되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됩니다. 이때,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여 충분한 시간이 흘러 정적 평형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응력과 변형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정적 해석입니다. 정적 해석은 일반적인 강도 해석과 함께 좌굴 해석(Buckling Analysis)도 정적 해석을 통해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구동되는 기계장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량, 예를 들어 반력, 변위,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등을 효과적으로 산출해내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과도 해석을 통해 시간을 포함한 구조해석을 시행하면, 관성력을 고려한 기계장치의 동적 거동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운전 중 갑작스러운 정지나 최초 운동 시작 시 발생하는 충격 거동 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정적 열해석과 과도 열해석으로 구분되며, 온도, 열량, 열유속 등의 물리량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열과 구조에 대한 복합적인 물리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열-구조 연성 해석도 가능합니다. 정적 열해석은 구조물이 충분한 시간이 지나 정적 평형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열적 상태를, 과도 열해석은 구조물에 열 하중이 작용하는 순간부터 시간에 따른 구조물의 열적 상태를 분석합니다.
충돌 해석은 Implicit와는 다른 Explicit 해석 기법을 사용하며, 충돌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해석 결과를 도출합니다. 충돌 해석은 구조물의 낙하 시험, 충격, 관통 문제 등을 다루며, 비선형성이 높은 문제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충돌 해석은 일반적으로 1초 미만의 충돌 시간을 다루는 분야부터 초고속 충돌 문제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모달 해석, 조화 응답, 불규칙 진동, 스펙트럼 분석 등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모달 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파악한 후 조화 응답, 불규칙 응답, 스펙트럼 응답을 통해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파악합니다. 구조물의 진동에 따른 응력 및 변형량 등을 분석하여 안전성 및 성능 등을 평가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구조해석·유동해석
기업고객
공공 및 교육기관